수면 중 마른 기침이 멈추지 않는다면 이걸 의심해봐야 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 Daily/- 건강, 영양

수면 중 마른 기침이 멈추지 않는다면 이걸 의심해봐야 합니다.

by 실천1 2025. 2. 5.

 

잠을 자다가 갑자기 마른기침이 멈추지 않는다면 단순한 감기나 알레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다른 질환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역류성 식도염은 야간에 기침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밤에 마른 기침이 계속되는 이유와 함께, 역류성 식도염을 포함한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밤에 마른 기침이 계속되는 주요 원인

1)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를 자극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가슴 쓰림(속 쓰림) 증상이 나타나지만, 일부 환자들은 만성 기침을 주요 증상으로 경험하기도 합니다.

🔹 왜 밤에 기침이 심해질까?

  • 누운 상태에서는 중력의 영향이 줄어들어 위산이 식도로 더 쉽게 역류함
  • 위산이 인후부를 자극하면서 기침 반사를 유발함
  • 수면 중에는 침 분비가 줄어들어 위산을 중화하는 능력이 감소함

🔹 역류성 식도염의 주요 증상

  • 가슴 쓰림, 목 이물감, 신트림
  • 목이 자주 쉬거나 아침에 목이 칼칼함
  • 원인 모를 만성 기침(특히 밤에 심함)

2) 후비루 증후군(후두 인두 역류 포함)

후비루(Postnasal Drip)는 코에서 생성된 점액이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점액이 기도를 자극하면서 마른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왜 밤에 더 심할까?

  • 누운 자세에서는 점액이 목 뒤쪽으로 더 쉽게 흘러내림
  • 코막힘으로 인해 입을 벌리고 자면서 목이 건조해짐

🔹 주요 증상

  • 목 뒤로 점액이 넘어가는 느낌
  • 목 clearing(켁켁거리며 헛기침)
  • 코막힘, 재채기 동반 가능

3) 천식

천식이 있는 경우 기도가 과민 반응을 일으키면서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침 변이형 천식(Cough Variant Asthma)**은 기침만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는 형태로, 밤이나 새벽에 기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마른 기침이 지속되며, 숨이 차지는 않음
  • 운동 후 또는 찬 공기에서 기침이 심해짐
  • 밤에 특히 기침이 심해지고 수면을 방해

4) 알레르기 반응

집먼지 진드기, 애완동물 털, 곰팡이, 꽃가루 등 알레르겐에 의해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코막힘, 재채기 동반 가능
  • 특정 환경(침대, 카펫 등)에서 기침이 심해짐

2. 역류성 식도염과 기침의 관계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기침은 단순 감기 기침과는 다릅니다. 기침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고, 주로 누웠을 때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이 기침을 유발하는 기전

  • 위산이 역류하면서 식도를 자극 → 기침 반사 유발
  • 위산이 목(인두)까지 올라옴 → 후두염 유발, 기침 증가
  • 신경 반사 기전 작용 → 위산이 식도를 자극하면 기도 신경이 반응하여 기침 발생

이 때문에 일반적인 감기약이나 기침약으로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기침을 완화할 수 없습니다.


3.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기침 해결 방법

1) 식습관 개선하기

  • 취침 3시간 전에는 음식 섭취 금지
    • 음식이 위에 남아 있을 경우 위산이 더 쉽게 역류할 수 있음
  •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 튀긴 음식, 초콜릿, 커피, 탄산음료, 술 등은 위산 분비를 촉진함
  • 과식하지 않기
    • 위가 가득 차면 위산 역류 가능성이 높아짐

2) 수면 습관 조절

  • 머리와 상체를 약간 높여서 자기
    • 베개를 여러 개 사용하거나 침대 헤드를 높이면 중력의 도움으로 위산 역류를 줄일 수 있음
  • 왼쪽으로 누워 자기
    • 위의 구조상 왼쪽으로 누우면 위산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3) 생활 습관 개선

  • 금연하기
    • 담배는 식도 괄약근을 약화시켜 위산 역류를 촉진함
  • 체중 감량
    • 복부 비만이 있는 경우 복압이 증가하면서 위산 역류 위험이 커짐
  • 꽉 끼는 옷 피하기
    • 배를 조이는 옷(코르셋, 벨트 등)은 위를 압박해 위산 역류를 유발할 수 있음

4) 필요하면 약물 치료받기

  • 제산제: 위산을 중화시켜 일시적으로 증상 완화
  • H2 수용체 차단제: 위산 분비를 줄여줌 (예: 파모티딘)
  •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가장 강력한 위산 억제제 (예: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 위장 운동 촉진제: 위 배출을 돕고 역류를 줄임

약물 치료는 증상이 심하거나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결론

밤에 마른기침이 멈추지 않는다면 감기나 알레르기뿐만 아니라 역류성 식도염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가슴 쓰림, 목의 이물감, 신트림 등이 동반된다면 위산 역류가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기침을 줄이려면 식습관 및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도 밤마다 기침으로 잠을 설치고 있다면, 혹시 위산 역류가 원인은 아닐지 점검해 보세요!


 

 

폐 건강을 지키는 생활습관, 음식한방차는 뭐가 있을까?

우리는 하루 평균 2만 번 이상 숨을 쉽니다. 하지만 매일 당연하게 여기는 이 호흡이 원활하지 않다면, 삶의 질은 급격히 저하될 수 있습니다. 폐는 단순히 산소를 공급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우

buza1.com

 

 

마른 기침 원인과 효과적인 방법 총 정리!!

마른기침은 가래 없이 건조하고 자극적인 느낌과 함께 나오는 기침으로, 목이 간지럽거나 따끔거리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기나 독감이 지나간 후에도 지속될 수 있으며, 다양

buza1.com

 

 

아이가 마른기침을 계속 한다면? 증상과 효과적인 방법 !!

아이들이 마른기침을 할 때 부모님들은 걱정이 많아집니다. 감기 때문인지, 알레르기 때문인지, 혹은 다른 원인이 있는지 판단하기도 어렵죠. 특히 밤에 기침이 심해지면 아이도 힘들고 부모도

buza1.com

 

728x90

댓글